본 글은 C언어를 배우고 나서 복습 겸 정리한 글입니다.
코드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 = 10;
int b = 3;
int c = 'J'
printf("a : %d, b : %d, c : %d", a, b, c);
return 0;
}
실행결과
a : 10, b : 3.000000, c : J
요약
자료형
자료형은 변수의 데이터 종류를 가리킨다.
int는 정수형, float은 실수형을 나타낸다.
char는 정수 자료형에 포함되지만 문자를 숫자로 표현한 아스키 코드를 저장하기 때문에
문자형을 나타낼때 쓰인다.
자료형
자료형
자료형은 변수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뜻한다.
변수에 어떤 값이 들어갈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이다.
| 구분 | 자료형 | 크기 | 범위 | |
| 정수형 | char | 1 byte | -128 ~ +127 | |
| short | 2 byte | -32,768 ~ +32,767 | ||
| int | 4 byte | -2,147,483,648 ~ +2,147,483,647 | ||
| long | 4 byte | -2,147,483,648 ~ +2,147,483,647 | ||
| long long int | 8 byte | -9,223,372,036,854,775,808 ~ +9,223,372,036,854,775,807 | ||
| 실수형 | float | 4 byte | ±3.4 × 10^-37 ~ ±3.4 × 10^38 | |
| double | 8 byte | ±1.7 × 10^-307 ~ ±3.4 × 10^308 | ||
| long double | 8 byte 이상 | double 이상 | ||
서식문자
서식문자는 입출력을 할 때 변수/상수를 사용하기 위한 문자이다.
%d나 %f가 서식문자 이다. 변수의 자료형에 따라 사용하는 서식문자가 다르다.
| 서식문자 | 자료형 | 출력 |
| %d | int |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|
| %ld | long int |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|
| %lld | long long int |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|
| %u | unsigned int | 부호 없는 10진수 정수 |
| %o | unsinged int | 부호 없는 8진수 정수 |
| %x, %X | unsinged int | 부호 없는 16진수 정수 |
| %f | float | 10진수 부동소수점 실수 |
| %lf | double | 10진수 부동소수점 실수 |
| %c | char | 문자 |
| %s | char* | 문자열 |
'Programming > C Mem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06. 출력과 주석 (0) | 2020.02.10 |
|---|---|
| 05. 연산자(2) [ 비트, 시프트, 삼항, 대입] (0) | 2020.02.10 |
| 04. 연산자(1) [산술, 비교, 논리] (0) | 2020.02.09 |
| 02. 변수와 상수 (0) | 2020.02.09 |
| 01. Hello World! (0) | 2020.02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