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rogramming/C Memo

06. 출력과 주석

by (J&M) 2020. 2. 10.

본 글은 C언어를 배우고 나서 복습 겸 정리한 글입니다.

코드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	
    int Korean = 80;	//국어 점수
    int Math = 76;	//수학 점수
    int Science = 94;	//과학 점수
    int English = 75;	//영어 점수
    int Social = 68;	//사회 점수
    int sum;		//합
    int num = 5;	//과목 개수
    float mean;		//평균
    
    sum = Korean + Math + Science + English + Social;
    mean = sum / num;
    
    printf("평균은 %f입니다.", mean);	//출력
    
    return 0;
}

실행결과

평균은 78.000000입니다.

 

요약


line 5~12

    과목이름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고 과목 개수를 num 변수에 할당한다.

    합을 저장할 변수인 sum과 평균을 저장할 변수 mean을 선언한다.

line 14 :  sum = Korean + Math + Science + English + Social;

    sum변수에 각 과목 점수를 더한 값을 저장한다.

line 15 : mean = sum / num

    mean에 sum에 저장된 값을 num에 저장된 값으로 나누어 저장한다.

line 17 : printf("평균은 %f입니다.", mean);

    mean을 출력한다.

 

출력


printf()

C언어에서 콘솔에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함수는 printf()이다. printf함수는 stdio.h에 정의되어 있다.

printf("문자열", 값, 값, ... 값); 의 형식으로 사용한다.

 

출력문에 변수의 값을 출력하고 싶으면 '자료형'글에 정리해놓은 서식문자를 사용하면 된다.

서식문자와 값의 자료형은 일치해야 하고 문자열 뒤 의 값은 서식문자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.


이스케이프 시퀀스

출력문에서 역슬래시(\)와 다른 문자의 조합으로 제어 문자를 표현한다.

이스케이프 시퀀스 출력
\\ 역슬래시(\)
\a 경고음
\b 백스페이스
\' '
\" "
\f 폼피드
\n 개행(Enter)
\t 수평탭
\v 수직탭
\? ?
\r 캐리지 리턴

나머지는 다 알 수 있으므로 넘어가고 캐리지 리턴폼피드만 정리

캐리지 리턴은 커서를 행의 맨앞으로 옮기는 것이고,

폼피드는 프린터로 출력 할때 현재 페이지를 마친다는 뜻이다.

 

주석


주석

주석은 컴퓨터가 아닌 사람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.

주석에 들어가는 문장은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

 

주석의 종류에는 한 줄 주석과 범위 주석이 있다.

한 줄 주석은 문장 앞에 //를 쓴다.

범위 주석은 /* 과 */ 사이에 문장을 넣는다.

범위 주석은 여러 문장을 주석 처리 할 수 있다.

// 이것은 한 줄 주석입니다.
/* 이것은
   한 줄
   주석입니다.*/

'Programming > C Mem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8. 조건문 (if문)  (0) 2020.02.10
07. 입력  (0) 2020.02.10
05. 연산자(2) [ 비트, 시프트, 삼항, 대입]  (0) 2020.02.10
04. 연산자(1) [산술, 비교, 논리]  (0) 2020.02.09
03. 자료형  (0) 2020.02.09

댓글